티스토리 뷰
수면 장애란 제대로 잠을 잘 수 없는 상태를 뜻합니다. 인간은 일생의 1/3을 잠을 자며 보내는데, 잠을 제대로 못 자면 정말 힘듭니다. 잠이 보약이라는 말이 괜히 있는 말이 아닙니다. 흔히 알고 있는 불면증도 수면 장애의 한 종류입니다. 이 글에서는 수면 장애란 무엇인지, 만성 불면증, 수면 장애 치료는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수면 장애란
잠을 제대로 못 자는 수면 장애는 인구의 약 20%가 겪는 흔한 질환이라고 합니다. 잠은 일생의 매우 많은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중요하지만 이를 장애라고 인식하지 못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특히 최근 수면 장애 환자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데, 이유는 스트레스, 수면 주기 변화, 노령화 등으로 복합적입니다.
2. 수면 장애 증상
1) 졸음(기면증)
수면 장애 환자는 낮 시간에 졸음이 몰려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낮에 몸을 제어하지 못할 정도로 졸리고, 순간 멍해지는 것을 포함합니다. 어떤 행동을 하다가 갑자기 졸음에 빠지기도 합니다.
2) 수면 무호흡증(코골이)
자면서 숨이 간헐적으로 멎는 증상을 뜻합니다. 수면 무호흡증 환자는 호흡을 하기 위해 코골이를 합니다. 반복적으로 수면 무호흡이 일어나면서 잠의 질이 떨어지고 잠에서 깨어나면 개운한 느낌을 받지 못합니다.
3) 렘수면 행동 장애
렘수면 행동 장애는 자는 동안 근육의 긴장이 제대로 풀리지 않아서 꿈에서 하는 행동을 현실에서 그대로 하는 것입니다. 자고 있는 옆사람을 때리거나, 발을 차거나, 침대에 일어나다가 다치거나 하는 몸을 움직이는 증상입니다.
4) 불면증
대표적으로 사람들이 알고 있는 용어입니다. 정상적인 수면을 취하지 못해 숙면을 하기 어렵고, 잠에 어렵게 들어도 다시 깨는 경우가 많습니다.
5) 하지불안증후군
다리에 불쾌한 감각이 오며 다리를 움직이고 싶은 느낌이 드는 것을 말합니다. 갑자기 다리에 벌레가 기어가는 듯한 느낌이 들거나 하는 불쾌감이 오며, 잠이 들기 어렵고 밤중에 자주 깨는 증상입니다.
3. 수면 장애 치료
1) 어둡고 조용한 수면 환경 조성
수면 장애 치료를 위해서는 빛이 들어오지 않도록 어두운 분위기를 만들고, TV나 스마트 기기의 전원을 끄고 조용한 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침대에서는 잠만 잔다는 생각으로 침대에 눕는 것이 좋습니다.
2) 규칙적인 수면 습관 형성
내 몸이 자는 시간이라는 것을 느끼도록 여러 습관을 만들면 수면 장애 치료에 좋습니다. 취침 2시간 전 따뜻한 물로 샤워하기, 또는 따뜻한 물로 족욕하기, 취침 30분 전부터 스마트기기 만지지 않기, 침대에서 명상하기 등이 있습니다.
3) 규칙적인 운동 및 식습관
여러 연구에서 하루 30분 내외의 규칙적인 운동은 수면에 좋은 영향을 끼친다고 발표하고 있습니다. 다만 자기 직전의 격렬한 운동은 오히려 몸을 깨워 수면 장애를 유발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수면 장애 치료, 만성 불면증 치료 이제 어렵지 않으시지요? 집에서 스스로 노력해 보시고 그래도 안된다면 병원에 가서 전문의와 상담받아보는 것을 적극 추천드립니다. 잠은 하루만 잘 못 자도 다음날 상당히 힘듭니다. 잠은 소중하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