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너무 많이 해도 걱정, 안 해도 걱정인 월경

봄이 지나면 더운 여름이 오고, 가을에는 단풍이 들고 겨울에는 잎이 모두 지는 이 모든 것들은 자연스러운 변화입니다. 여성의 몸도 자연스러운 리듬에 따라 한 달에 한 번씩, 월경을 하게 됩니다. 여성들은 월경이 찾아오면 몸의 변화로 인해 신체적, 정신적으로 힘들어합니다. 하지만 이맘때쯤 해야 할 월경을 갑자기 하지 않는다면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그것보다 더 무서운 것도 없을 것입니다. 몸에 이상이 있었던 여성이라면 힘들어도 주기에 따라 규칙적으로 하는 월경이 그렇게 고마울 수 없습니다. 오늘은 월경불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당신의 월경은 규칙적인가요

월경은 보통 28일을 기준으로 보며, 개인차에 따라 21일보다는 길고 42일보다는 짧습니다. 성숙한 난자가 배출되는 배란이 있고 2주 후에 월경은 시작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배란입니다. 배란이 규칙적으로 이루어지는지 잘 살펴봐야 합니다. 

월경주기는 크게 3구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 번째 '난포기'는 지난 월경과 이번 배란 사이를 말합니다. 다음 '배란기'는 말 그대로 성숙한 난자가 배란되는 시기입니다. 마지막 '황체기'는 배란 직후부터 다음 월경 시작 전을 뜻합니다. 개인차에 따라 월경주기는 모두 다르지만, 황체기는 14일로 거의 일정합니다. 그래서 월경이 규칙적이지 않다면, 난포기가 변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월경주기는 짧아도, 길어도 좋지 않습니다. 딱 평균을 유지해야 좋습니다. 월경주기가 너무 짧다면 황체기가 짧아져 자궁내막이 충분히 부풀어 오르지 않거나,  잦은 출혈이 있을 수 있습니다. 반면 월경주기가 너무 길면 자궁내막이 계속 부풀어 있어 생리량이 많거나, 자궁내막증식증이 올 수도 있습니다. 월경불순이 일어났다면 여러분의 몸은 어딘가에서 균형이 깨졌다는 신호를 보내는 것입니다.

2. 몸의 균형을 찾고, 월경불순을 막으세요

이제 월경불순을 예방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첫번째로 월경주기를 확인하세요. 이것은 몸의 건강 신호를 확인하는 기본입니다. 월경의 규칙성, 월경주기, 총 기간, 월경량을 간단하게 정리해놓고 조금이라도 변화가 있다면 예민하게 반응하세요. 동시에 기초체온을 통해 배란일을 파악하는 것도 좋습니다. 매일 아침, 잠에서 깨면 같은 부위의 체온을 측정합니다. 저온기와 고온기가 한 달 주기로 번갈아 오는 것이 정상입니다. 어느 날 기초체온이 뚝 떨어지고 다음 날 고온기로 진입하는 날이 있다면, 체온이 떨어진 날이 바로 배란일입니다. 월경주기의 불규칙함이 세 번의 주기 동안 지속된다면 바로 전문의를 찾아 상담 받는 것이 좋습니다.

두 번째로 자신의 생활 리듬을 점검하세요. 너무 극심한 다이어트, 지나친 운동, 비만 모두 우리 몸의 균형을 깨뜨리는 일입니다. 특히 6개월 이상 월경을 하지 않는 현상이 20대 젊은 여성들에게 가장 많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지금 내 몸이 어떠한지 확실하게 파악하고 나의 나이에 맞게 생활 리듬을 조절하세요. 20대에는 밤을 새워 공부해도 괜찮았다고 30대에도 똑같이 하면 안 된다는 뜻입니다. 내 몸에 맞는 수준의 음식량, 운동, 생활 습관을 서서히 찾아가며 규칙적인 생활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세요. 어딘가 아파서 병원을 가면 모든 의사는 이렇게 말합니다.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세요." 현대의 많은 질병, 원인이 뚜렷이 없는 질병 조차도 모두 스트레스를 조심하라고 말합니다. 특히나 여성의 자궁은 스트레스에 취약합니다.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 사람은 없겠지만, 스트레스를 잘 관리할 수는 있습니다.

3. 자궁이 건강해야 여성도 건강합니다

여성에게 자궁은 태어날 때부터 함께하는 존재입니다. 사춘기가 되면서부터 자궁은 쉬지 않고 평균적으로 35년간 일을 합니다. 여성의 월경 기간을 계산해보면 우리는 일생 중 6년 동안은 월경을 하는 셈이라고 합니다. 임신과 출산도 중요하지만 다양한 호르몬으로 인해 여성의 건강과 직결된 자궁은 우리가 잘 지켜야 할 소중한 장소입니다. 내 몸이 아픈 것을 확인하면 따뜻하게 돌봐주세요. 내 몸이 예민한 상태임을 알면 인정하고 쉬어주세요. 내가 스스로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내 몸을 잘 돌보아주는 것이 제일 중요합니다. 여성들의 건강을 기원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