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나는 왜 이렇게 의지가 약할까

여러분은 야식의 유혹을 잘 참으시나요? 공부를 해야 하는데 휴대폰을 놓지 못하고 있나요? '나는 의지력이 강해요.'라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는 사람은 잘 없습니다. '작심삼일'이라는 말이 있듯 자신의 의지력을 탓하는 사람들이 훨씬 많습니다. 정말 우리의 의지가 이렇게 약한 건지, 그렇다면 의지력을 강하게 하는 방법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1. 의지와 자아통제감

의지는 심리학학에서 자기 통제감(Self-Control)이라고 합니다. 미래가치와 만족을 위해 즉각적인 만족과 충동, 유혹을 억제하는 능력입니다. 높인 자기 통제감을 가지면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옵니다. 다들 아는 유명한 '마시멜로우 실험'은 당장의 만족을 지연할 수 있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마시멜로우를 15분간 참고 기다린 아이들이 성인이 된 이후에도 성적, 대학, 연봉, 건강 등에서 월등한 수준을 보였다고 합니다. 하지만 의지력을 단순한 조건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것인지 심리학계에서 반론이 많았습니다. 이후 비슷하지만 다른 실험을 통해 '신뢰'라는 조건을 추가로 제시합니다. 마시멜로우를 참고 견디라고 말하는 낯선 이를 믿을 수 있는 아이들과 그렇지 않은 아이들은 가정환경에서 자란 '신뢰'의 정도가 다르다는 것을 밝힙니다. 이에 2018년 미국 콜롬비아대학 심리학 교수 Tyler Watts는 '장래의 성공여부는 개인의 인내심이나 의지력이 아닌 가정환경에 달렸다.'라고 주장합니다. 여기서 의지력에 대한 맹목적인 신화를 지적했습니다. 즉, 어떤 상황에서도 참고 견디는 힘이 중요하니 무조건 참고 노력하라는 사회 분위기가 의지력에 대한 오해를 불러일으킨 것입니다. 우리가 이루지 못한 모든 것은 다 노력이 부족해서가 아닌 것입니다. 무론 의지력이 중요하지만 전부는 아닙니다.

 

2. 의지와 자아고갈이론

앞서 마시멜로우 실험에서 눈 앞의 유혹을 잘 참은 아이들의 공통점은 그 유혹을 효과적으로 차단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자신을 유혹하는 마시멜로우를 쳐다보지 않고 다른 곳에서 놀고 다른 생각을 한 것입니다. 즉 의지력을 발휘하고 싶다면 유혹을 멀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주변의 환경을 통제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야식의 유혹에서 벗어나고 싶다면 야식을 시킬 시간에 산책을 가거나, 야식을 시킬 수 있는 휴대폰을 멀리 두는 것입니다. 우리 주변에는 엄청나게 많은 유혹들이 있습니다. 유혹을 가까이 두고 참는 것은 의지력을 지속적으로 소모하는 일이기 때문에 힘, 에너지를 소모하는 것과 같아 무척 힘들다고 합니다. 미국의 사회심리학자 Roy Baumeiser는 '우리의 의지력은 마치 연료처럼 충동을 억제하는 동안 계속해서 고갈됩니다.'라고 말합니다. 이것이 자아 고갈(Ego Depletion)입니다. 즉 우리가 참으면 참을수록 의지력이 닳아서 없어지니까 정작 중요한 일을 해야 할 때는 집중할 에너지가 없는 것입니다. 나만 그런 것이 아니라 누구나 의지력을 쓰면 고갈된다는 점을 꼭 알았으면 좋겠습니다. 의지력을 높이고 싶다면, 나의 에너지를 아끼고 싶다면, 애초에 유혹과 싸울 필요가 없도록 환경을 정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의지력을 꾸준히 발휘하는 '그릿'

잠깐은 참을 수 있지만 오래 참는 것은 정말 힘듭니다. 3~4일 바짝 벼락치기 공부는 가능하지만, 수능을 대비해서 1년 동안 매일 공부를 하는 것은 힘든 이치입니다. 그릿(Grit)이라는 개념을 처음 제안한 사람은 미국 심리학자 Angela Lee Duckworth입니다. 뛰어난 성취를 보이는 사람들의 공통점을 모았더니, 한 분아에 꾸준한 흥미를 가지고 노력하는 사람이 성공한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그릿은 장기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꾸준한 노력과 열정입니다. 이러한 그릿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언가를 좋아하는 것에서 시작해야 합니다. 무엇이든 열심히 하는 것이 아니라, 좋아하는 것과 목표를 찾는 것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또한 그릿이 높은 사람들의 가장 특징적인 삶의 태도는 실패를 대하는 자세라고 합니다. 그릿이 높은 사람이라도 힘든 순간, 실패하는 순간을 맞이할 수밖에 없습니다. 순간적으로 속상하고 부정적인 감정은 느끼지만 감정적인 것보다는 실패한 경험을 통해 배운 것을 보완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며 실패를 너그럽게 받아들입니다. 이러한 그릿은 보고, 배우고, 익힐 수 있다고 하니 여러분도 오늘부터 여러분들의 그릿을 열심히 키우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