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한 연애를 위해 필요한 이것 여러분은 건강한 연애를 하고 있으신가요? 여러분은 사랑하는 다른 사람들과 좋은 관계를 맺고 있으신가요? 건강한 연애 또는 사랑하는 사람과의 모든 관계에 필요한 것이 있습니다. 특히 연애할 때만큼 온몸의 세포가 짜릿짜릿 살아 움직이는 느낌을 받은 적이 또 없던 것 같습니다. 오늘은 건강한 연애를 위해 어떤 자세가 필요한 지 알아보겠습니다. 1. 거부민감성이란 무엇인가 거부민감성이란 거부 및 거절에 민감한 특성을 말합니다. 인간이라면 모두 이것에 민감합니다. 그러나 유독 민감성이 높은 사람들은 아주 사소한 상황도 예민하게 받아들이고 모두 거부의 사인이라고 해석을 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걱정과 불안이 유독 높고 할 말을 제대로 하지 못합니다. 이러한 거부민감성이 높다면 평등하지..

어려운 사회생활, 얼마나 솔직해야 할까 여러분 모두 사회생활을 하며 지낼 것입니다. 사회생활을 잘한다는 것은 무엇일까요? 눈치를 보며 동료나 상사의 비위를 맞추는 것이 좋은 걸까요? 내가 하고 싶은 행동과 생각을 거침없이 다 표현하는 것이 좋은 걸까요? 요즘은 특히 꼰대, MZ 등의 신조어와 그에 따른 갈등 상황을 유머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그럼 사회생활을 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사회생활에서 솔직하게 말을 못하는 이유 사회생활의 사전적 정의는 사회의 일원으로서 집단적으로 모여 질서를 유지하며 살아가는 공동생활입니다. 이렇게만 보면 나도 사회생활을 잘하고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사회생활을 잘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가면과 적당한 예의를 차리며 적당한 선을 찾는 끊임없는 노력의 과정이..

공감과 경청의 기술 우리는 하루에도 몇 번씩 타인과 대화를 하며 살아갑니다. 특히 친밀한 관계일수록 감정이 들어간 대화를 많이 하게 됩니다. 즐겁고 의미 있는 대화는 하루의 스트레스를 날려주기도 합니다. 이때 공감과 경청은 즐거운 대화의 필수조건입니다. 진정한 공감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하면 경청을 잘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진정한 공감이란 무엇인가 공감이란 다른 사람의 상황이나 기분을 느낄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그런데 흔히 사람들이 착각하는 잘못된 공감이 두 가지 있습니다. 먼저 상대방의 감정이나 상황을 나에게 투영해서 말하는 것입니다. 상대방에 어떤 사건을 말했을 때 '나도 그랬어.', '나도 정말 화가 나.', '나는 이런 일이 있었어.'와 같은 말로 대화의 초점을 나에게 가져오는 것입니다..

나는 왜 이렇게 의지가 약할까 여러분은 야식의 유혹을 잘 참으시나요? 공부를 해야 하는데 휴대폰을 놓지 못하고 있나요? '나는 의지력이 강해요.'라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는 사람은 잘 없습니다. '작심삼일'이라는 말이 있듯 자신의 의지력을 탓하는 사람들이 훨씬 많습니다. 정말 우리의 의지가 이렇게 약한 건지, 그렇다면 의지력을 강하게 하는 방법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1. 의지와 자아통제감 의지는 심리학학에서 자기 통제감(Self-Control)이라고 합니다. 미래가치와 만족을 위해 즉각적인 만족과 충동, 유혹을 억제하는 능력입니다. 높인 자기 통제감을 가지면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옵니다. 다들 아는 유명한 '마시멜로우 실험'은 당장의 만족을 지연할 수 있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마시멜로우를..